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학술/행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제1회 SSQ Media Symposium

  • 일시2010-04-06 00:00:00
제1회 SSQ Media Symposium

Mplanet, 도시에 말을 걸다 {Co-inpiration}
■일시 : 2010.04.10(토) 10:00am~17:00pm
■장소 : 서울스퀘어(SSQ) 3층 중회의실

서울스퀘어 미디어캔버스는 건물의 파사드를 이용한 커다란 캔버스 공간이다. 서울스퀘어 미디어캔버스를 다른 미디어 매체와 구별하는 가장 큰 특징은 ‘도시’와 ‘사람들(大衆)’이라는 두 가지 요소다. 서울스퀘어 미디어 캔버스가 서울이라는 거대한 도시 공간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익명의 군중을 향해 열려 있는 문화공간이기 때문이다.

서울역 앞이라는 상징적인 위치에 서 있는 서울스퀘어 미디어캔버스의 행보는, 도시에서 벌어질 미디어 매체의 방향성 설정에 중요한 선례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제 1회SSQ 미디어 심포지움]에서는 도시에서 일어나는 미디어 문화현상을 사례중심으로 살펴보고 서울스퀘어 미디어 캔버스의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들의 창조적 의견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또한 서울스퀘어 미디어 캔버스가 ‘나눔’과 ‘공유’를 바탕으로 도시민에게 예술적 감성을 공급하는 열린 문화의 장소가 되기 위한 고민을 나누어 예술과 산업의 가치 사이에서의 현명한 조율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세부행사
Session1: Media, Next 10:00~12:20
사회: 이준, 대구카톨릭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과 교수
디지털 미디어 매체의 등장으로 예술과 기술, 산업의 경계는 흐려지고 예술이 고집하던 고유한 정체성도 흔들리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로 인한 예술의 확장 가능성과 기술의 접점을 짚어보고 미디어 매체를 통해 새롭게 발전해가는 사회성을 읽는다.
미디어 문화산업과 도시마케팅 - 이용우, 광주비엔날레 상임부이사장
Public Art and New Media - Dr. Charlie Gere, Prof. Lancaster Univ.
Decode; A Social Interaction - Louise Shannon, Curator, Victoria & Albert Museum

Session2: With Public 13:00~17:00
사회: 주일우, 문지문화원 ‘사이’ 기획실장
도시의 오픈된 공간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미디어 매체의 영향력은 공공성을 담보로 한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미디어 매체와 도시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탐구하고 미디어 매체의 영향성과 미래를 대중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채팅, 게임 그리고 음악 - 장재호,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테크놀러지 학과 교수
Albers to Canvas, Sandback to Building - scrutinizing the stealthy desire - 이중식, 서울대학교 디지털융합기술대학원 교수
미디어 예술과 기술로 거대한 캔버스가 되는 도시 - 이현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교수
미디어 캔버스 마케팅 효과 - 김민주, ㈜리드앤리더 대표
기술과 미디어, 공간을 채우다 - 오일석, d’strict UX Technology 2팀 팀장

참여를 원하시는 분께서는 ganamplanet@gmail.com으로 성함과 참여세션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목록 다음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