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이달 29일까지 전주 경원동 한국전통문화의전당에서 '조선왕조실록 복본(複本·문서 등의 원본을 그대로 베낀 것) 전시회'를 연다.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조선 왕조 500년 역사를 기록한 실록 복본 1202권을 선보이는 자리다. 전주시와 한지산업지원센터는 지난 2008년부터 33억원을 들여 조선왕조실록 복본화 사업을 진행했다. 전국 전통한지 업체 22곳이 이 사업에 참여했으며, 가로 63㎝·세로 93㎝ 크기의 전통 한지 4만여 장이 사용됐다.
-조선일보 2016.12.05
제주문화예술재단(이사장 박경훈)이 오는 11일까지 세대통합 역지사지 프로그램 참가자를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오는 1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통놀이문화지원협의회와 넥슨컴퓨터 박물관에서 가족 혹은 세대 간의 차이를 허물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진행된다.
이날 행사는 문화·예술·교육가와 가족이 만나 과학과 전통예술을 놀이로 접목한 프로그램을 체험하며, 서로의 세대를 공감하는 시간을 제공한다.
참여 대상은 도내 거주 2세대 이상의 가족구성원으로, 1 가족당 최대 4인이 신청 가능하다.
희망자는 재단 홈페이지(www.jcaf.or.kr)에서 관련 서식을 다운 받은 후 작성해 이메일(chunjuhyun@jcaf.or.kr)로 접수하면 된다. 참가료는 무료. 문의 800-9174.
-제주신보 2016.12.05
서귀포시는 지난 3일부터 오는 8일까지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에서 제10회 문화강좌 도예교실 작품 전시회를 열고 있다. ‘흙 이야기’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에는 도예교실 수강생이 만든 다기세트와 의자, 항아리 등 30여 점의 작품이 선보이고 있다. 한편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는 지역주민을 위한 도예교실을 매년 운영하고 있다. 올해 도예교실은 상·하반기로 나눠 주1회 4시간씩 초·중급별로 운영했으며 6개월간 총 56명이 참여했다.
-제주신보 2016.12.05
◇정경숙 作
정경숙 매듭전이 9일부터 춘천미술관 2층에서 열린다. `매듭의 쓰임새와 어울림'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에는 매듭 공예로 만든 노리개 목걸이 가방 등 작가의 다양한 창작물을 만나볼 수 있다. 강원대 가정학과를 졸업하고 김은영 매듭장의 매듭 이수자이다.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입선 등을 수상했다. 전시 오프닝은 9일 오후 4시다.
-강원일보 2016.12.05
●김상균 ‘다층유희:불편한 스텍터클’(작품) 대중문화의 영상이미지를 취해 작업한 유화연작을 선보이는 작가의 네 번째 개인전. 눈을 현혹하는 숭고함과 아름다움이 결국은 허상이 아닐까 자문하는 한편 다양한 층위의 대중문화 기호들이 적어도 캔버스 안에서만큼은 실재하는 유희의 대상임을 나타낸다. 8일까지, 서울 관악구 신림동 산수문화. www. sansumunhwa.com.
●‘예술가의 눈’전 소울아트스페이스가 개관 11주년을 맞아 마련한 기획전. 김경민, 김정수, 안성하, 한성필, 황선태 작가가 참여해 작가들만의 특별한 눈과 감각으로 빚은 회화, 사진, 조각, 미디어 작품을 보여준다. 내년 2월 27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울아트스페이스. (051)731-5878.
-서울신문 2016.12.05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