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291

[2018.07.03]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 ◇과장급 전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무과장 문영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교육운영과장 전칠수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운영과장 김성도△ 천연기념물과장 전기선 △ 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장 김한옥 △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장 이용석


매일경제동아일보, 한국경제 2018.07.03

- 중앙일보 2018.07.04


■한국디자인진흥원 ◇보직임명 △전략경영본부장 송현민 △감사윤리실장 윤병문 △디자인혁신실장 윤성원 △전략기획실장 허석 △경영지원실장 최기열 △인재육성실장 맹은주 △선행연구실장 김태완 △플랫폼개발실장 이동현 △서비스디자인실장 강필현 △산업지원실장 손동범 △대외협력실장 홍민석


- 매일경제, 헤럴드경제 2018.07.03


■충북도 ◇문화예술산업과장 이배훈


- 국민일보 2018.07.03


■ 예술의전당 인사

◇ 본부장 ▲ 경영본부장 태승진 ▲ 공연예술본부장 전해웅 

          ▲ 문화예술본부장 박민정 ▲ 운영본부장 이은관 

◇ 감사실장 김영곤

◇ 부장   ▲ 기획전략부장 윤동진 ▲ 인사관리부장 길세연 ▲ 경영지원부장 이원호 ▲ 홍보부장 송성완 ▲ 사업개발부장 고영근 ▲ 공연기획부장 박상훈 ▲ 공연장운영부장 최석중 ▲ 무대운영부장 이용욱 ▲ 미술부장 조성문 ▲ 서예부장 채홍기 ▲ 교육사업부장 황복희 ▲ 문화영상사업부장 김미희 ▲ 시설안전부장 정현근 ▲ 고객지원부장 박치웅


예술의전당 홍보부


- 연합뉴스, 이데일리 2018.07.03

- 한겨레, 매일경제, 한국일보, 헤럴드경제 2018.07.04

[2018.07.03] 강태환 '가송예술상 大賞'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강태환 작가가 동화약품과 부채표 가송재단이 주는 가송예술상 대상을 받았다. 가송예술상은 고려 시대에 발명된 문화유산인 접선(摺扇·접는 부채)의 예술적 가치 향상과 대중화를 위해 2012년 제정된 미술 공모전이다. 우수상은 인터미디어Y가 받았다.


- 조선일보 2018.07.03

[2018.07.02]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


◇ 과장급 전보

▲ 천연기념물과장 전기선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무과장 문영철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교육운영과장 전칠수 ▲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운영과장 김성도 ▲ 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장 김한옥 ▲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장 이용석 


- 연합뉴스, 이데일리 2018.07.02

- 한겨레, 서울경제, 경향신문, 국민일보 2018.07.03



[2018.06.30]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


◇ 국장급 전보

▲국립중앙박물관 광주박물관장 김승희 ▲국립중앙박물관 전주박물관장 천진기


◇ 과장급 전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과장 최장헌 


-한겨레, 동앙일보, 조선일보 2018.06.30 

-중앙일보, 서울경제, 헤럴드경제 2018.07.02 


[2018.06.29] 부고 - '신사실파' 유일 생존 작가 백영수 화백 별세...향년 96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associate_pic


'신사실파' 유일한 생존작가였던 백영수 화백이 29일 오후 1시 30분경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6세.


 고인은 생전 이중섭·김환기·유영국·장욱진과 함께 1947년 결성한 국내 신사실파로 활동, '이중섭의 친구'로 더 알려졌다. 신사실파는 한국 추상미술의 시작을 알린 모임으로 이후 국내미술을 움직이는 원동력이 됐다.


  지난 2016년 9월 서울 통의동 아트사이드에서 연 개인전에서 백 화백은 '다른 사람은 다 죽었는데 나만 운이 좋아 살아있다'며 '100살까지 살아야겠다. 4~5년 남았는데 앞으로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말한바 있다.


 백 화백의 대표작은 50여년간 천착한 '모자상'이다. 고개를 90도 각도로 갸우뚱하고 있는 아이의 얼굴이 특징이다. 특히 엄마 등에 매달려 엄마와 아이가 한 몸같은 그림에는 백 화백의 평생 그리움이 담겼다.  화백이 두살때, 엄마는 남편을 잃었다. 오빠가 있는 일본으로 아이를 데리고 간 엄마의 나이는 고작 스물살도 안됐고 아이를 두고 생계를 이어야 했다. 


 백영수 화백은 1922년 수원에서 태어나 두 살 때부터 일본 오사카에서 자랐다. 오사카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1944년 한국으로 돌아와 목포에서 미술교사로 근무했다. 이후 1978년 프랑스 요미우리화랑 전시를 계기로 파리에 정착했다. 30여년간 파리에 살면서 파리, 밀라노, 로마 등 유럽에서 100여회 전시를 열었다. 이후 2011년 경기 의정부 옛 집으로 귀국했다. 


  2012년 광주시립미술관에서 화업 70주년 개인전을 열었고, 92세인 2016년 서울 아트사이드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어 '신사실파 마지막 현역 작가' 전시로 화제가 됐다.  


  지난 4월, 70년대부터 거주했던 의정부(호원동) 옛집을 리모델링해 백영수 미술관을 건립했다. 지상 2층, 전체면적 371㎡ 규모로 현재 상설전을 열고 있다. 대한민국 문화예술 은관훈장을 받았다.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층 4호실, 발인 7월 2일 오전 10시. 경기 의정부 호원동 성당 미사후 장지 이동. 장지 경기 의정부 신곡2동 성당 하늘의 문. 02-2072-2016.


- 뉴시스 2018.06.29

- 조선일보 2018.06.30

- 한겨레, 세계일보, 중앙일보 2018.07.0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